About Zen

|

The Right Way of Gong-an Seon

 : Zen meditation is to break through the Gateway to Patriarch (e.g. koan),
 : and delicate enlightenment ultimately demands the stillness of mind.


the scent of apricot tree blossom

 : Getting out of dust and pain is not an ordinary matter. 
 
: Play a round grabbing it tight. 
 : If apricot blossoms don’t once get over midwinter coldness,
 
: can they get the scent stirring up the air ?

Zen Master Seung Sahn says :

Zen is very simple… What are you?

In this whole world everyone searches for happiness outside, but nobody understands their true self inside.

Everybody says, “I” — “I want this, I am like that…” But nobody understands this “I.” Before you were born, where did your I come from? When you die, where will your I go? If you sincerely ask, “What am I?” sooner or later you will run into a wall where all thinking is cut off. We call this “Don’t know.”

Zen is keeping this “Don’t know” mind always and everywhere.

    When walking, standing, sitting,
lying down, speaking, being
     silent, moving, being still.
At all times, in all places, without
     interruption — what is this?
One mind is infinite kalpas.

Meditation in Zen means keeping don’t-know mind when bowing, chanting and sitting Zen. This is formal Zen practice. And when doing something, just do it. When driving, just drive; when eating, just eat; when working, just work.

Finally, your don’t-know mind will become clear. Then you can see the sky, only blue. You can see the tree, only green. Your mind is like a clear mirror. Red comes, the mirror is red; white comes the mirror is white. A hungry person comes, you can give him food; a thirsty person comes, you can give her something to drink. Their is no desire for myself, only for all beings. That mind is already enlightenment, what we call Great Love, Great Compassion, the Great Bodhisattva Way. It’s very simple, not difficult!

So Buddha said that all beings have Buddha-nature ( enlightenment nature ). But Zen Master Joju said that a dog has no Buddha-nature. Which one is right? Which one is wrong? If you find that, you find the true way.

 

Compass of Zen Teaching (by Zen Master Seung Sahn)

* The Purposes of Buddhism : First attain enlightenment, then instruct all creatures.

* The Divisions of Buddhism : Hinayana Buddhism, Mahayana Buddhism, Zen Buddhism

* The 5 Human Desires : Wealth, Sex, Fame, Food, Sleep

* 3 Kinds of Practice : Sila – Precepts, Samadhi – Meditation, Prajna – Wisdom

* 6 Paramitas : Generosity, Precepts, Forbearance, Samadhi, Practice, Wisdom

* Zen Buddhism : If you want to pass through this gate, do not give rise to thinking. Not depending on words, there has been a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he sutras. Pointed directly to Mind, see your true nature, become Buddha.

* The Classifications of Zen : Outer Path Zen, Common People’s Zen, Hinayana Zen, Mahayana Zen, Utmost (Vehicle ?) Zen.

* Utmost (Vehicle ?) Zen : Theoretical Zen ( Form is emptiness. Emptiness is form. ) Tathagata Zen ( No form, no emptiness. ) Patriarchal Zen ( Form is form. Emptiness is emptiness. )

* Methods of Meditation : Soto Zen ; Sitting in silent meditation. Rinzai Zen ; Looking into Kong-an. Chogye Zen ; What is this ?

* The Three Essential Elements in Zen : Great Faith, Great Courage, Great Question.

 

Words & Phrases for Zen

** Five Disciplines for Ascetic Zen Praticians

* Don’t talk much.
* Don’t sleep much.
* Don’t read books.
* Don’t eat much.
* Don’t hang out.

**  : Zen meditation for true mind covers all the other ways to enlightenment.

**  : When you see that it is not possible for you to see, it is that you see the Dharma-nature. ( Seung Shan : If you understand “don’t know”, just this is enlightenment. )

**  Socrates said ,”Know yourself.” or “The only thing that I know is I know nothing.” That is a way to Zen. There is one Koan asking “What is this ?” Then, what does “this” in the question  mean ?  That is the same question.

What am I ?  If you know yourself, not about yourself, the question has the answer in itself  and can’t be a question. When you think you know yourself, it is not yourself, but about yourself,  that is, your attributes such as things about your body and character.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questioning arise spontaneously. It is possible only to the person who take his life and its intrinsic nature seriously. The questioning is like the friction of wood, which will cause the fire.The fire will at last eat all the wood from which it came. Then what happen ?


Zen Song by Na-Ong Zen Master (1320-1376)

Zen practice doesn’t need much talk,
just like whipping a running horse on.

Once the question mass cracks,
your eyes will open wide and light up the prior time to the universe.

Just stick to whadu (= koan) and don’t loose it.
Struggling with it, just continue questioning ‘What is this ?’

Endless questioning will be like a fireball,
and suddenly you will awake from the long dream of life and death.

Innumerable years of quiet zazen
made the thinking walllike and all the others forgotten.

With keen questioning through millions of thoughts,
I passed rivers and mountains, not knowing spring had come.

Raise the question of whadu every way.
Don’t keep anything but whadu.

Nothing is left, so mind is free.
All is silent, so no dust arises.

In a street or thick woods, on a plain or the seashore,
only Nirvana ecstasy is always for him absorbed in whadu.

Go right ahead without looking elsewhere.

When you take one step forward where you cannot go further,
there will truly not be any matter at all,
and you can pass through a thorny thicket, even swinging your arms.

The integrity of proud loneliness is lofty
like a great mountain,
and dhyana is free like a sea gull, forever.

Reverse a round desperately with all your strength,
and passion-free world will be clear beyond in and out.

The essence of whadu lies in great questioning.

When the question defeats the blue eyes of Boddhidharma,
you will be free to kill and revive others, hence notorious all over the world.

The subtlety of zen is from keenness.
Dull questioning cannot solve the life and death problem.

When the question cracks, space will split,
and time will fuse in a beam of cold light.

Be always earnest in pondering over whadu,
and sweep out worldly idle thoughts by the question.

Only after you let go the hold on the bottomless cliff,
the earth and space will disappear all together.

As the question cracks and passions die suddenly,
there is no shade in every direction all the way.

As the spacious spirits void all directions,
you can stroll about and relax even on the way to Eternal Hell,
accompany various people and pass like a wind.

Liberation by zen practice is not so hard,
only if you turn a thought round instantly.

Where waters end and mountains are passed,
there is no water and no mountain,
yet mountain is mountain and water is water.


The Human Route

Coming empty-handed, going empty-handed — that is human.
() When you are born, where do you come from?
() When you die, where do you go?
() Life is like a floating cloud which appears.
() Death is like a floating cloud which disappears.
() The floating cloud itself originally does not exist.
() Life and death, coming and going, are also like that.
() But there is one thing which always remains clear.
() It is pure and clear, not depending on life and death.

Then what is the one pure and clear thing?


Looking for a Cow on the Very Cow

Monk Soyo was clever from his childhood and learned a lot of Sutras, so he became a famous teacher of Sutra. However, he was not sure he would be delivered from life and death, so he went to the great zen master Seosahn to learn Dharma. From then, he learned each Sutra phrase day by day from Seosahn. The phrases had been familiar to him long before. However, he kept learning them for 3 years and was frustrated. One day when he came back from outing for a while, he noticed that Seosahn was hiding an old small book into his inner pocket, stopping to read it. This happened often. When Seosahn fell asleep, Soyo tried to steal and read it. However, Seosahn woke up startled and hid it more secretly. Soyo was angry at last and decided to leave. Then, Seosahn said, “If you want to leave, please do with this book you wanted.” There was a Buddhist song in the book like this :

 Cut a tree having no shade,
and burn down foams in water.
What a laughing stock, you mounted on a cow,
trying to look for a cow on the very cow.

Soyo went to southern part of Korea with the book and meditated the song for 20 years, but in vain. When he was 40 years old, he went to Mt. Myohyang to look up Seosahn. Then, tears flowed from his eyes. He had never been able to forget his teacher for so many days. Seosahn said, “How is it going ? Did you get it ?” Soyo said, “I don’t understand the song yet.”

Then, Seosahn said, “What a laughing stock, you mounted on a cow, trying to look for a cow on the very cow.” Just then, Soyo became fully enlightened.


True Practice (an old monk)

It was winter retreat. Just one day before the beginning of the session, an old monk asked to participate in the retreat. Although he begged so much, all the monks objected to it, because he was married and he said that he had to stay and work in his own temple at night. In fact, it was violation of the rule in the temple. However, the zen master in the session told them to accept his request, saying that his willingness to study should not be broken. Thus he could study there together.

When there was a tea party in the middle of the session, one monk asked the zen master what meaning it had to “look for a cow, on the very cow”, after bowing 3 times to him courteously. He answered, “Now that you say you are looking for a cow, being mounted on the cow, please don’t look for it, but set forth the cow you have mounted.” Upon hearing this talk by the side, the old miserable monk shouted clapping his hands, “Now, got it,” Then, all the other monks laughed saying that he had gone mad at last. However, the zen master said that it was not a laughing matter and took him to his room. After quite a while, the zen master came out and announced his getting the ultimate truth. The old monk hit the ground and cried before the zen master, saying, “I should live in the darkness forever, if you had not accepted me.”

The other monks were frustrated. Some one said he felt as if he were blind and food in mouth were sand for three days. One of them meditated for 16 days without drinking a drop of water and sleeping a wink. At last he was on the brink of death and he recovered with the aid of the others. There is no senior or junior in zen practice.


What to Polish

Master Majo is said to have made holes in 7 mats by sitting on for meditation, when he was in Master Whoeyang’s temple. He was so addicted to sitting that he looked like a dead man or a statue. Then, noticing that he made no progress, Whoeyang asked, “What are you doing ?” Majo answered, “Zazen.” Whoeyang asked again,”What for ?” Majo answered, “To become a Buddha.”

Whoeyang was polishing a brick one day. Majo heard the noise and asked, “What are you polishing the brick for ?” Whoeyang answered, “To make a mirror.” Thinking that it is not possible anyhow, Majo asked, “How can you make a mirror with a brick.” Whoeyang answered, ” Then, can you make a Budda by sitting on a mat ?” Majo asked, “What shall I do ?”

Whoeyang answered, “When an oxcart doesn’t go, do you have to hit the ox or the cart ? Under this word, Majo became fully enlightened.


Lunch

Once in China, there was a great lecturer of Diamond Sutra, Ducksan, who went to the south to teach right Buddhism, because he learned in a Sutra that it takes numberless lives of polishing for a man to become a Buddha, but monks in the south taught that by pointing to one’s mind directly, they can make you become a Buddha. When he got in a restaurant for lunch, an old lady looked at him for a while and asked, “What is it you are carrying on the back ?” He answered, “It is Treatise of Diamond Sutra.” She said, “Ah, is that right ? The book reads that you cannot get past mind, present mind and future mind. If you have lunch, on which mind will you have it ?” If you answer correctly, I will serve your lunch.” He was stricken and come out of there without having lunch. As instructed by her, he looked up master Yongdam and stayed together in his room until midnight, so it was dark outside when Ducksan was coming out of the room. When Yongdam lighted a candle and would give it to him, Ducksan was trying to receive it. That moment, Yongdam blew the light out and Ducksan became fully enlightened.


A Bee

Shinchan was a Chinese zen master, whose teacher was a lecturer of sutra. When Chinchan was traveling, he met Backjang and got enlightened. Now, he came back to his teacher and was washing his teacher’s body at the request of his teacher. He said, touching his teacher’s back, “The buddha is not holy in an excellent sanctuary.” Then, his teacher turned and looked back at him. He said again, “Even if not holy, it can shed light.” Furthermore, when his teacher read a sutra and a bee was trying to get out of a window, he sang,

 ” Not going out through the open,
you are foolish to hit the screen paper of the window, instead.
Even if touching old paper for one hundred years,
when can you get out ? “

His teacher said, stopping reading the sutra, “Did you meet any one during the travel ?” Chichan said, “I learned from Backjang and want to repay you the favor.” After performing purification, his teacher asked Shinchan to preach Dharma. He rose to a seat and sang,

 “The spiritual light shines alone, so it got far out of (subjective) roots and (objective) dusts.
The (Dharma) body exposed its true shape, so it is not restricted by letters.
The true nature cannot have defect, and it is originally entire and perfect by itself.
Just leave the false fate, then it is the very, very Buddha. “

Thereupon, his teacher got enlightened.


Heavy Sacks

Kyungheo and Mangong, his disciple, were returning to their temple in the evening after getting some rice for their food. Especially that day, they got rice full of sack. Apart from their satisfaction, the sacks were heavy and it was still distant to their destination. Mangong felt tired and got pain on the shoulder, so it was very difficult to follow his master. Noticing this, Kyungheo said, “I will use one method to get fast. Please see.” They were passing a certain village. Then, a beautiful young woman was coming from the opposit side of them with a water jar on the head. She was apparently a bride just over 20 years old. When Kyungheo faced her, he held her both ears and kissed her lips. The woman screamed, dropped and broke the jar, and ran back into her house. A distubance arose. Villagers ran out of their houses with sticks or clubs and shouted, “Wicked monks, stop there.” The two monks began to run away. They ran so desperately that villagers couldn’t follow them to the last. After a while, when they took a rest, Kyungheo said, “Was the sack heavy ?” Mangong said, “Regardlessly, I don’t know how I could run so long way with it.” Kyungheo said, “Don’t I have talent ?” They laughed together looking at each other.


Threat

In the times when Japan ruled the Koreans, there was a zen master called Hyewal who was famous even in Japan. One Japanese knight heard of him and came to Korea to test Hyewal’s Dharma.

He abruptly entered Hyewal’s room and said threateningly with his sword out, “I hear you are an accomplished being. If it is true, you are supposed to survive this sword. Now, please escape from my sword.” Then he was about to hit Hyewal’s neck with the sword.

Then Hyewal said calmly, “If you want to kill me as a skilled knight, you don’t have to be accompanied.” Then the knight looked at the open door to see who was out there. This moment, Hyewal stabbed him with his wand and said, “How absent-minded you are as an honorable knight. If this baton were a knife, you should have been killed.”

The Japanese knight was astonished and ashamed of himself. He bowed to him and disappeared.


Sermon Dirt (A Man in the Moonlight)

Once, there was a man walking in the moonlight in a very cold winter. Then, he saw a glittering thing on the road. It was apparently a gold watch. He looked around him, and found that he was alone. He swiftly put it into his pocket and went home. After arriving home, he took it out and found it was a frozen spittle beginning to melt on his hand.

This is a figurative story about the 49 years’ sermon of Buddha, which is so much dirty when compared to one’s own true mind. Just before his death, Sakyamuni himself said that he had never preached a sermon. All the Buddhist scriptures are said to be a leaf with which parents soothed crying children in old days. They said,”This is money.”


Source of Happiness

Where does so-called happiness come from ?   Following is a figurative story about happiness :   A dog got a bone on the road.  He started eating and biting the bone.  The bone shed delicious broth continuously.  However, in fact, the broth was its blood flowing from its gum hurt by the bone edge.  This means that happiness comes from our own mind, not from the objective like money, status, power, etc.  If you don’t fully agree to this,  please figure out the reason.  It is said that happiness comes from the peace of mind.


One Blind Man

One blind man was walking along the winding road in a valley. One side of the road was steep slope and cliff. Absorbed in fresh air and birds’ songs, he stumbled over his step and fell over the cliff. Fortunately, however, he took the branch of a tree on the cliff and began to shout, “Help me ! Save my life!” After a while, one man heard his voice, looked into what was happening and laughed, because just one foot below his feet was flat ground. The man said to him, “Just let go of it and you will be safe.” He repeated, but the blind man couldn’t follow his word until he was exhausted, because the branch was thought to be as good as his life.

Our zen teachers tell you to let go of your holdings for your eternity, but you don’t.

Comment : Letting go of your holdings is a matter in your mind, not necessarily throwing away actual things. However, the both ways are possible and natural.

'Hwadu Medit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witter @hwadu  (7) 2010.04.05
Buddhist Experts Stress Need for Books in English  (2) 2010.04.03
hwadu  (3) 2010.02.12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1) 2010.02.10
Thirteen Passes of Koans  (0) 2010.02.10
And

대한불교조계종 노동조합 출범 선언문

|

대한불교조계종은 청정과 승풍 진작의 원력이 담긴 정화불사와 1994년 개혁에 대한 여망으로 출범한 개혁회의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 우리 종무원들은 이 역사의 매듭마다 당당한 주인으로 참여하여 온몸을 내딛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우리의 모든 삶과 생활은 종단과 종무를 중심으로 움직였으며 종단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종도와 우리사회에 희망을 줄 수 있는 종단으로 거듭나기 위해 진력해왔다.

오늘 우리는 다시 종단과 종무를 새겨본다.

지난 9개월여의 소요(騷擾)는 우리 모두에게 깊은 상처와 후유증을 남겨 주었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이 소요의 원인은 수십여 년의 세월 동안 축적되고 지속되어 온 것이다. ‘종단의 안정과 쇄신’은 그 말 자체의 절실한 여망에도 불구하고 모든 종도들을 인질처럼 붙잡아 두고 있었다. ‘종단의 안정’ 이란 말은 우리의 병을 들여다보지 못하게 했고, 용기있게 드러내지 못하게 했으며, 결국 고통조차도 느끼지 못하는 깊은 병을 우리에게 안겨주었다. 종단의 안정은 곧 특정한 정치적 세력의 안정, 그들만의 종단을 의미하는 것이었고 그렇게 귀결되어 왔기 때문이다.

‘종단 쇄신’ 또한 이와 다르지 않았다. 무엇을 자성하고 쇄신해야 하는지도 모른 채 언 손과 발을 녹여가며 1000배를 해야 하는 것도, 잃어버린 절 땅을 어떻게 찾으려고 하는지도 모른 채 한여름 땡볕에 도로를 점거하면서 서울시청까지 삼보일배를 하는 것도 종무원들의 몫이었다. 더욱 답답한 것은 이렇게 흘린 종무원들의 땀방울이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 아무도 알지 못하고 아무도 책임지지 않았다. 결국, 우리는 종단이 계승한 개혁정신의 질적인 전환을 이루어내지 못했다.

이에 부끄러운 마음과 결연한 의지가 함께 교차한다. 종헌종법의 원칙에 근거하여 종무를 수행했는지 자괴감도 있다. 우리들의 종무가 어떻게 회향되고 있는가를 연기(緣起)의 눈으로 성찰하지 못했다.

우리는 종무원이자 노동자다. 개혁불사 초심으로 종무에 대한 책무를 다하고자 했으나 우리의 자긍심은 순응적인 문화, 줄서기 문화 속에 무너져 버린 지 오래다. 애종심과 쇄신은 누군가에 증명이라도 해야 할 듯 거리에서 사찰에서 우리 스스로를 수단과 도구로 전락시키는 용어가 되어버렸다. 공정하고 합리적인 종무행정은 갈수록 줄어들고, 신도를 수동적인 동원의 대상으로 전락시켰다.

우리는 우리의 일터를 사랑하기 때문에 여기 모였다. 부처님 법을 만나 행복한 우리는 부처님 법을 전하고 부처님 법대로 살아가기 위해 더 나아갈 것이다. 우리는 종단이 사부대중의 책임과 역할에 조응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 스스로 뿐 아니라, 종단의 모든 사부대중과 우리사회의 모든 사람들에게 천 개의 손과 천개의 눈(千手千眼)이 되고자 한다.

오늘 우리는 노동조합을 출범하며, 당당하게 노동자로서 스스로의 권익을 보호하고, 우리의 일터인 종단과 사찰이 세상에 든든한 안식처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다. ‘모든 생명은 스스로의 주인’ 이라는 부처님의 지혜와 자비의 뜻을 담아 새로운 차원의 실천 의지를 다음과 같이 밝힌다.

하나. 우리는 업무의 단순한 조력자에서 벗어나 종헌종법을 근간으로 사찰과 종도를 위해 소신있게 종무를 행하는 중심축임을 잊지 않을 것이며, 자유로운 의견조차 표현하기 어려운 조직문화 개선과 종무원들의 인권 및 권익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하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고용안정, 직장 내 성평등, 근로조건 개선을 통해 우리 노동의 가치가 제대로 인정받는 종단이 되도록 나설 것이다!

하나. 사부대중의 평등한 공동체 실현을 통해 불자와 국민에게 신뢰받는 종단을 만들 것이다.

하나. 참된 민주주의의 구현, 한반도 평화통일과 민족공동체 실현을 위해 사회적 연대를 적극 추진할 것이다!

2018년 9월 20일(목)

전국민주연합노조 대한불교조계종 지부


And

총무원장 후보 원행 스님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http://www.bulkyo21.com/news/articleView.html?idxno=41140
2018년 09월 18일 (화) 23:24:24 덕산 원두스님

본인은 원행 후보가 직접 발표한 발표문이 없어서 교계 신문 기사를 보고 원고를 작성하니 잘못이 있을 수 있습니다. 원행스님은 총무원장 후보 가운데 현재의 종단 현실을 초래한 막중한 책임이 있는 문중 출신입니다. 그래서 그 자신과 문중의 과오 및 총무원장 후보 출마의 변과 관련해 다음과 같이 본인의 입장과 견해의 일단을 밝히기로 했습니다.

본인이 현재 조계종에 대해 어떤 입장이고 어떤 견해를 갖고 있는가는 지난 9월 19일자『불탑뉴스』1, 2면에 광고한 공개서한 1, 2 ‘조계종단 전체 승려와 불교도에게 보내는 공개서한’과 9월 17일자『불교닷컴에 투고한 같은 주제의 글(일부 수정)에서 밝힌 것과 같습니다.

이하 원행후보의 참회, 화합, 혁신이라는 3대 전제 아래 밝힌 출마의 변 “대중공의를 통한 지속적인 혁신” 등 기사에 나오는 용어와 문구로 구성된 내용을 중심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평가하겠습니다.

원행스님은 존중의 리더십으로 참회로 시작, 화합으로 열고, 혁신으로 가겠다고 했습니다. 그러니까 참회, 화합, 혁신의 3대 목표 아래 총무원장의 직무를 수행하겠다는 것으로 이해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1-1. 참회는 총무원장 불신임과 자신을 비롯한 종단 소임자들이 안정과 화합, 발전에 더 힘을 쏟지 못한 점 참회한다는 것 이외에 더 이상 언급이 없다. 종정, 원로, 종회 등 현재의 제도권도 8월 26일 교권결의대회와 마찬가지로 고개를 들 수 없고 참회해야할 말을 잃었기 때문일 것이다. 4반세기가 지난 94년 당시보다 더욱 비통하고 참담한 오늘의 종단 현실(공개서한 1의 1∼5)에 누구보다도 막중한 책임이 있는 원행스님도 할 말이 없었을 것은 당연하다. 지금 우리는 다음 94년 종권찬탈과 제도개혁을 결의한 승려대회의 발원문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1-2. “大悲願力으로 이 땅에 오신 부처님! 오늘 우리 승가대중은 뼈를 깎고 피를 토하는 비원의 결의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지금 우리는 부처님 앞에 고개를 들 수가 없습니다. 지금 우리는 참회해야 할 모든 말을 잃었습니다. …파사현정의 출가정신을 구현 하신 부처님! 계행이 바로 서지 못하고 삿된 정신을 가진 자들이 부처님의 성스러운 가사를 훔쳐 입고서 잘 못된 법과 제도를 악용하여 자신들의 육락을 채우고 있습니다.”

2-1. 94년 범종추의 3인 공동대표로 사실상 종란을 주도한 도법과 제도개혁을 주도한 고 박탄성, 송월주 두 분 총무원장이 불교와 종단을 파괴하기 위한 외도나 적주가 아니라면, 그들이 94년 종란사건과 제도개혁을 통해 오늘날과 같은 종단 현실(MBC PD 수첩방영)을 초래한 책임을 지고 대중 앞에서 참회하고 원행스님을 출마시키지 않았을 것이다. 종정의 역할까지 수행하게 되어 있는 총무원장 후보로 원행스님을 내세웠다는 것은 폐불반종을 계속하겠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가 엄중한 상황이니, 사회의 흐름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해서 불교신도가 감소했다고 상황과 사회의 흐름으로 본질을 호도하고 있다.

2-2. 원행스님 문중인 도법스님이 94년 4·10 승려대회의 단상에서 발표한 종단개혁 청사진의 「종헌·종법과 위계질서와 원로스님의 뜻 존중」, 도법스님의 은사 월주스님이 단상에서 낭독한 종단개혁선언문의 ‘승가 본연의 청정한 가풍과 대회사의 구종의 횃불인 전국 승려대회의 선언 및 발원과 상반된 종단 현실은 종정도, 원로도, 지도자도 없고, 승가 본연의 청정한 가풍은 어디가고, 승려와 종단은 타락하고 세속화되고, 범죄 집단으로 전락했습니다. 救宗의 횃불인 전국 승려대회(결의와 집행)가 구종이 아닌 廢宗의 횃불로 불교적 기본질서가 최상의 가치규범이자 질서규범인 여법화합갈마와 종단 기존 법질서를 파괴하고, 불교적 양심마져 불태워버린 결과가 오늘의 종단 현실이다. 그러니까 도법의 말과 월주스님이 낭독한 선언문 및 대회장이 낭독한 대회사는 거짓말[망어]이자 대중기만이며 선동인 것이다.

3-1. 화합과 혁신을 함께 검토한다. 화합은 ‘승가를 화합과 청정한 공동체’와 화합승, 7대 공약에서 “대중공의를 통한 지속적인 혁신”을 강조했다. 그리고 의장격인 행주인은 언제나 낮은 자세로 구성원의 의견 존중을 예로 들고 있다. 먼저 투표 관리인인 행주인은 언제나 낮은 자세로 구성원의 의견 존중도 중요하지만, 대중을 지도할 자격과 방향 및 투표 방법의 선택과 여법한 결론까지 내릴 수 있는 유능 총명한 자라야 한다. 화합과 혁신 사이에 청정한 수행가풍과 부처님 법 등 용어와 문구는 도법의 종단개혁 청사진과 월주스님이 낭독한 종단개혁 선언문에 원용된 불교적 용어와 문구와 승려대회의 결의사항들과 마찬가지로 대중을 기만하기 위해 내세운 허구로 보아야 한다.

3-2. 사부대중의 공의와 “대중공의의 공의를 통한 혁신”의 ‘공의’는 불교적 근거가 전혀 없다. 먼저 도법이 주도한 100인 대중공사의 ‘공사’는 94년 이전까지의 산중공사와 대중공사의 ‘중 공사 목밸 공사 없다’는 전언과 전원참석과 전원찬성의 화합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승가갈마에서 연원한다. 그러나 나치스와 소비에트 당대회와 같았던 94년 4·10 승려대회와 도법이 주도한 100인 대중공사와 사부대중위원회가 도출한 ‘공의’와 같은 결론은 승가의 회의(갈마)에서는 있을 수 없다. 도법이 주도하는 대중공사는 갈마에서 연원하는 전래의 대중공사가 아니라 인민회의와 인민재재판과 같은 형태로 바꾸어 가고 있다. 그러니까 ‘혁신’도 방향도 불교적 근거가 없는 파괴와 자기들식 혁신이다.

4-1. 화쟁위원회(이하 화쟁위)를 대사회문제에 대한 불교의 입장을 대변하는 기구인 동시에, 종단 내부 갈등을 중재하도록 독립성을 부여할 방침이라고 했다. 화쟁위의 화쟁은 원효의 화쟁론에 근거하고, 동 화쟁론은 다양한 불교 이론들 사이의 다툼을 화해시키는 이론이지 구체적인 방법이 없다. 역량의 부족으로 종단 내 문제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주제에 대사회문제 개입은 국가사회와의 충돌을 낳고, 신뢰를 잃게 된다. 예컨대 도법의 4대강 사업 중재 때 호통과 회초리의 오만, 민노총 위원장 한상균 조계사 진입 중재의 국법질서 교란, 국사범 이석기 사건 탄원을 보지 않았는가? 석존께서는 여러 국가 사회의 제반 문제를 비롯해 국사와 국왕의 문제에 대한 논의 자체를 당부하고 금지했다. 이는 출가사문이라는 점과 사회와 대립과 갈등을 초래할 것을 우려한 때문이다.

4-2. 종단 내부 문제는 종헌 제9조 구족계/칠멸쟁법이 있고, 호법부와 호계위원회가 있다. 화쟁위 설치는 호법부와 호계위원회 위에 군림하고, 종헌상의 칠멸쟁법과 율장의「멸쟁건도」를 무력화시킴과 동시에, 종단 내외의 제반 문제에 출가사문의 분한과 능역을 넘어선 개입을 계속하겠다는 원행문도의 의도이다. 석존의 가르침에 입각한 성철 전 종정의 ‘법대로(yatha dhamma) 살자’를 무력화시키는 한편, 경전과 율장에 근거가 없는 ‘붓다로 살자’로 종정 불신임과 같은 폐불반종행위를 위장하듯 화쟁위를 통해 불교와 종단 파괴를 계속하겠다는 것이다. 그의 화쟁위 상설기구설치 방침은 도법이 국가사회를 휘졌고 종단을 좌지우지할 교주이자 종정으로 올려놓겠다는 의도인 것이다.

결어- 94년 승려대회 발원문에서 “지금 우리는 부처님 앞에 고개를 들 수가 없습니다. 지금 우리는 참회해야할 모든 말을 잃었습니다.”라고 하고, “계행이 바로 서지 못하고 삿된 정신을 가진 자들이 부처님의 성스러운 가사를 훔쳐 입고서 잘 못된 법과 제도를 악용하여 자신들의 육락을 채우고 있다,”며 ‘참회하고 참회한다.’고 했었기에, 그들이 불교와 종단을 파괴하고자 입도한 외도와 적주가 아니라면, 어찌 오늘날과 같은 종단 현실이 있을 수 있었겠는가라는 것이다.

또 하나 현재의 법과 제도로 선거하고 총무원장이 선출되면 조계종은 회생이 불가능하고, 한국불교도 함께 쇠망의 길을 걷게 될 것이다. 이번 총무원장 후보 누구도, 참모 중에도, 본인이 공개서한 1, 2의 결론에서 지적한 종단 현실과 팩트를 인정하지 않고,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끌 역량이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든다.

조계종단 전체 승려와 불교도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2018년 09월 17일 (월) 10:34:11 덕산원두 스님

대한불교 조계종은 지난 8월 22일 설정 총무원장이 퇴진한데 이어 오는 9월 28일 제36대 총무원장 선거를 치르게 된다. 지난 5월 MBC PD 수첩의 <큰 스님께 묻습니다> 2회 방송으로 알려진 권승들의 타락상과 나날이 더해가는 조계종단의 세속화는 필설로 말 할 수 없는 지경이다. 그런데 이는 94년 종란宗亂주역들이 불법집회인 4월 10일 승려대회(이하, 4·10 승려대회)를 통해 종권을 찬탈하고 각종제도를 개악한 결과가 일부 나타난데 불과하다.
이에 본인은 94년 그때부터 현재도 진행 중인 그들의 폐불반종廢佛反宗행위 및 차기 총무원장 선거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본인의 입장과 견해를 밝힌다.

1. 94년 종단사건은 宗亂이자 廢宗행위다. 종단 내 이른바 자칭 ‘민주화 세력’과 종도가 주도하고 관권이 협조한 내란內亂에 해당하는 종란宗亂이다. 그리고 이번 총무원장 후보로 출마한 네 분[4인] 스님은 승가의 회의(갈마) 등 석존의 법·율을 근본이념과 기본원리로 하는 불교적 기본질서와 종단의 법질서, 헌법상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서 용인될 수 없는 반란을 통한 종권장악에 동참하고 온갖 혜택을 누린 당사자이다.

2. MBC PD수첩의 방송이 나간 후 설조스님이 정화이념을 다시 살려 파계권승들은 물러가고 청정승가를 만들자며 목숨을 건 41일간의 단식 투쟁을 강행하였다. 이와 같은 설조스님 뜻에 동참한 출가승과 재가불자들이 8월 26일 조계사 앞 우정로에서 불교도대회를 열고 부패 권승들의 퇴진과 청정승가의 구현을 위해 간곡히 외쳤다.
그러나 종정과 원로회의는 이런 애절한 청정승가와 구종운동에 대한 公的 논의는 물론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그리고 종정 교시로 출범한 위원회 역시 의혹 해명은 고사하고 어떤 대책도 내 놓지 못하고 해체되었다. 그러니까 조계종은 종정도, 원로회의도, 지도자도 없고, 사실상 종단기능이 마비된 뇌사상태이다.

3. 현하 조계종단이 뇌사상태에 빠진 것은, 94년 종란주역들이 종헌·종법 개폐를 통해 종통승계의 최고의 권위와 지위를 가진 종정의 권능과 지위 보전 장치와 종단을 보위할 종법(승니법 제45조 <치탈사유> 2, 7, 10호)을 삭제하였다. 이는 종정을 총무, 교육, 포교, 호계 등 실무 원장과 본사주지와 동급으로 격하시키고(승려법 제48조 1), 원로의원은 원로회의의 동의 없이는 징계 받지 않는 불징계권과 종단 중요 종책 조정, 종법안 제출권, 중앙종회에서 부의한 사항 등 원로회의의 5개항의 권한이 삭제된 데에 근본 원인이 있다.

4. 94년 종란주역들은 종단에서 영구히 추방되는 4바라이죄(淫行, 竊盜, 殺人, 大妄語)를 범하더라도 실형만 받지 않으면 처벌을 받지 않도록 종법을 개정했다. 4바라이죄(波羅夷, pārājka) 개정은 종헌 제9조 승려 구족계의 수지 위반임과 동시에, 승려들의 음행과 절도, 살인과 대사기죄大詐欺罪에 해당하는 대망어죄大妄語罪를 용인한 것이다. 그래서 외도外道와 적주賊住가 부처님 행세를 해가며 불교와 종단을 파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석존께서는 대망어계 제정에 앞서 “세간에는 5인의 대적大賊이 있다”며 如來所說의 법률을 자기 것으로 하는 악비구惡比丘 등 3가지를 들고 최대의 대적은 실이 없는[空無]의 상인법上人法을 얻었다는 자라며 심하게 난힐難詰했다. 성철 전 종정이 “진짜 큰 도둑은 스스로 성인聖人인체 하는 자”라고 지적한 것을 되새겨 보아야 한다.

5. 94년 종란의 전위 조직인 범종추를 대표하는 도법, 현응 등은 불설에 합치하는 여법한 교시를 내린 서암 종정을 불신임하였다. 또한 도법 스님은 총무원장 권한 대행으로서 은처승·도박승 척결 지시에 불응했을 뿐만 아니라 자격 없는 사실이 들어난 적주賊住 사미沙彌의 총무원장 재출마를 거부당한 은사를 대신해 98년 승려대회에서 월하 종정 불신임, 2011년에는 종정의 소관사도 아닌「종교평화 불교인 선언」을 재가하지 않는다는 빌미로 법전 종정 공격, 2012년 추대식도 하지 않은 진제 종정을 같은 사안으로 불신임 설을 유포시켰다. 여법한 교시를 내린 종정 불신임은 석존에 대한 불신임으로 직결된다는 점에서 조계종 승려와 불제자라면 용인할 수 없는 중죄 가운데 중죄다.

총무원장 후보 네 분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1. 94년 종란주역들의 4·10 승려대회의 개최와 종정 불신임 등의 결의 및 집행을 통한 종단장악은 반불교적 비법적 반종단적인 행위이다. 즉, 종단의 화합법과 쟁사 해결법[종헌 제9조 구족계/승잔법(제10, 제11)과 7멸쟁법], 승가의 회의(갈마)의 여법화합원칙 등 석존의 法·律과 종헌·종법, 종헌 선포문의 계법戒法을 존숭尊崇하고, 우리 종도들과 전 국민의 여망 앞에서 자율적으로 육화의 정신에 입각, 종단의 전통을 바로 잡고 현실타개를 위해 제정한 헌장선포 위반이다. 본인은 당시 원로회의 사무처장 겸 종정사서실장으로, 그들의 종단장악 과정에 94년 종란의 전위 조직인 범종추로부터 두 차례나 불법·납치·감금·폭행당하고, 온갖 수모를 겪었다.

2. 94년 개혁회의의 본인 등에 대한 궐석심판에 의한 치탈처분은, 1) 종단의 쟁사 해결법이자 쟁사에 연루된 자에 대한 제재법인 종헌 제9조 구족계/칠멸쟁법의 당사자 출석[現前毘尼法], 죄상의 추궁[覓罪相法], 자백[自言治]를 받지 않고, 2) 당시 자신들이 제정한 호계원법 제14조 ① 당사자에게 알려주게 돼있는 ‘제소요지’도 알려주지 않고, 3) 단 1회의 가간呵諫도 없었다는 점에서 무효다. 이상과 같은 4·10 승려대회의 개최와 종정 불신임 등의 결의 및 집행을 통한 종단장악과 위법한 치탈처분 등의 죄상은 당시 승니법 제45조 <치탈사유> 1, 2, 4, 7, 10호와 현행 승려법 제46조 <멸빈사유> 1, 2호에 해당하는 중죄다.

3. 율장의 不犯[無罪]사례에 의하면, 처음 간고諫告할 때 버리거나 비법이고 비율이고 부처님의 가르침이 아니고(非法非律非佛所敎), 일체 가간呵諫이 없었을 경우, 악우惡友와 악지식惡知識을 파차(破遮)할 경우는 不犯[無罪]이다. 파승자破僧者와 파승자를 돕는 자, 승가, 화상, 아사리, 지식智識에게 손감을 끼치거나, 주처를 없애는 자를 파하는 것은 불범이란 판례에 비추어, 94년 4·10 승려대회와 같은 승가의 회의(갈마)에 반하는 비법별중(非法別衆)의 교조 석존의 불신임으로 직결되는 종정 불신임을 주도자, 위법한 원로회의에 서암 종정 불신임‘안’ 제출 아이디어를 제공한 자, 법정에서 위증을 꾀한 자와 “부처님의 교법에 따라 교시를 내린 종통승계자인 종정을 불신임 할 수 있다.”고 증언한 자, 98년 자격 없는 적주賊住 사미승의 원장 재출마를 거부한 월하 종정 불신임을 주도한 악우惡友와 악지식惡智識 등이 이에 해당한다.

4. 도법과 현응 등 94년 종란을 주도한 승려들이 작성한 종단개혁 관련 문건의 용어와 문구는 그들의 지나 온 행보에 비추어 반대로 보아야 이해가 된다. 즉, 정법은 비법이며, 정율은 비율이며, 불교는 비불교이며, 쇄신은 타락이며, 개혁은 파괴이고, 새로운 질서와 가치 체계는 불교적 질서와 가치의 파괴이고, 문명은 야만이고, 공개는 비공개이고, 양심은 앙심이고, 선우는 악우이고, 화합을 파화합이고, 민주화는 세속화이고, 위계질서 존중은 위계질서 파괴이고, 화쟁은 파쟁이고, 중재는 교란이고, 생명은 살생이며, 평화는 투쟁이며, 생명·평화는 유혹과 유인이며, 구종救宗의 횃불은 폐종廢宗의 횃불이었으며, 붓다로 살자는 ‘붓다를 죽이자’이다.

5. 조계사 마당의 ‘붓다로 살자’ 입간판이 지금은 생명·평화 법당으로 꾸며졌다. 불교는 해탈解脫(자유)과 열반涅槃(평화)을 이상으로 하는 멸쟁滅諍과 무쟁無諍의 종교이자, 불살생不殺生의 종교다. 그런데 어떻게 해서 조계사 법당과 별개로 생명평화의 법당이 조계사 경내에 있어야 하는가? 조계사 경내 도법의 ‘붓다로 살자 생명평화 법당’은 즉시 철거되어야 한다. 지금의 조계종은 도법이 교주이고 종정의 역할을 하고 있다. 살아있는 조계종단 승려(비구·비구니)를 비롯한 모든 불제자들은 이와 같은 모순을 해결해야 한다. 우리가 더 이상 그들의 불법승 삼보의 파괴와 기만 선동, 거짓말[妄語]와 그럴듯한 말[相似語], 위선과 가면을 좌시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지 않으면 우리의 불교와 종단은 멸망한다.

6. 서암 종정은 불신임 사유도 없고, 원로회의에서 불신임을 받은 사실도 없다. 그래서 서암 종정은 이임사에서 “本人에게는 何等 傳達이 없이 他處에서 不信任하였는지는 疑惑으로 남아 있습니다.”라고 자신에 대한 원로회의의 불신임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원로회의의 종정 불신임은 김혜암 원로회의 부의장과 김승찬 원로 이외의 다른 원로들은 말이 없었고, 도견 원로는 법관 등에게 물어야 봐야 한다는 말로 사실상 반대했다. 그러나 김 부의장은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은 불법집회인 94년 4·10승려대회에서 운집대중에게 ‘원로회의 종정 불신임 결의’를 제안하여 운집대중으로부터 박수로 동의결의를 받았다. 이는 운집대중에 대한 거짓 말[망어]이자 대중기만이다.

7. 도법은 1998년 11월 30일 우정로 승려대회에서 월하종정을 불신임을 결의하였다. 동년 12월 26일 한겨례와 인터뷰에서 기자가 종정 불신임에 대해 묻자, “월하 종정 불신임은 전국 승려대회 결의사항이다. 그 누구도 승려대회의 결의사항을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라고 단호히 말했다. 기자가 그의 관심사를 묻자 “붓다의 삶처럼 살고 싶다. 고통과 불행으로부터 대중을 자유롭게 하는데 그 분은 자신의 모든 삶을 바쳤다. 붓다의 길을 나의 길로 가고 싶다.”라고 답했다. 그의 “붓다의 삶처럼 살고 싶다”는 간단히 말해 그가 선우도량의 ‘선우’로 지난 4반세기 온갖 악우 짓을 한 것과는 반대로 이번에는 자신이 주도한 종정 불신임의 죄상을 선량으로 포장하기 위해 위장술僞裝術을 부린 것이다.

이상으로 조계종단 전체 승려와 불교도 및 총무원장 후보로 출마한 네 분 스님에게 보내는 공개서한을 마치면서, 불법승 삼보를 파괴하는 종단 현실과 인과因果의 도리 등 재차 강조하는 싶은 점과 후보 네 분 스님께서는 현명한 판단을 하시라는 점을 부탁드리는 것으로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첫째, 불설에 합치하는 여법한 교시를 내린 종정을 불신임함으로써 교조 석존을 불신임하고, 석존께서 설시한 ‘법’을 불신하고, 불법을 지키려는 승려를 치탈한, 이른바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에 대한 불신, 부정, 파괴는 외도外道와 적주賊住 및 그 측근들의 행위로 보아야 한다. 설조스님이 강조하는 적주는 비구계를 받지 않고 비구행세를 해 온 사미승, 적심수계자賊心受戒者, 적심입도자賊心入道者, 재출가자와 재수계자 가운데도 여기에 해당하는 자가 있을 수 있다.

둘째, 94년 4·10 승려대회에서 발표한 종단개혁의 청사진의 종헌·종법과 위계질서를 존중하기 위해 원로스님 등 뜻 존중 및 종단개혁 선언문이 천명한 ‘승가 본연의 청정한 승가’와 ‘구종救宗의 횃불’과는 상반된 종단 현실(MBC PD 수첩 방영)은 사부대중에 대한 망어이자 기만이며, 배신이다. 율장은 망어妄語와 상사어相似語, 갈마羯磨와 결의[舍羅]의 파승자(破僧者)의 지옥[泥犁]의 과보를 일겁一劫 동안으로도 끝나지 않는다고 경고하고 있다. 거짓말을 하거나 행동하고 하지 안했다고 부인하는 자 등의 지옥행은 경전들도 다르지 않다.

셋째, 94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불법승 삼보의 파괴, 승려들의 타락과 종단의 세속화로 뇌사상태에 빠진 오늘의 조계종단의 현실은 누구나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총무원장에 출마한 네 분 스님은 먼저 각자 자신과 자기 문중이 앞서 본인이 지적한 문제들에 대해 얼마나 자유스러운가? 다음은 오늘의 종단 현실과 사실[팩트]을 인정하는 일이다. 그 다음으로 해결할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끝으로 ‘자기 자신이 해결할 능력이 있는지를 관찰해야 한다.’는 율장의 가르침을 상기하기를 바란다.

And
prev | 1 | 2 | 3 | 4 | ··· | 7 | next